# Study For Us 호스팅 소개
# 서버 사양 안내
# 서버의 하드웨어 Spec
서버의 하드웨어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.
1. E5-Xeon 2630 V4 >> 10 cpu / 20 threads
2. 64 DDR4 ECC/REG RAM >> Quad Channel로 구성
3. 웹 파일 및 DB 모두 SSD 에 기록
4. 850w PLATINUM 인증된 안정된 파워
5. 1000VA UPS >> 정전시 15분 정도 전력공급이 안되어도 유지
단순 사양만으로 비교한다면 우리나라 커뮤니티 중 중간규모 사이트 이상급의 서버입니다.
일반적으로 서버 호스팅을 받는다면 월 25만원 이상의 비용이 지불되어야 하는 스펙입니다.
# 서버의 소프트웨어 스펙
현재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웹서버, DB 서버, FTP 서버 등의 스펙입니다.
종종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버전 정보가 정확하기 않을 수 있습니다. 여기 나와 있는 정보는 최소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종류 | 이름 | 버전 정보 |
웹 서버 | Apache | 2.4.46 |
DB | MariaDB | 10.0.38 |
Web Source | PHP | 5.6 / **7.0 / 7.1 / 7.2 / 7.3 / 7.4**
굵은 글씨로 되어있는 버전의 지원 내용
cli (쉘 버전)
memcached (캐싱)
APCu (캐싱)
ImageMagick (이미지 변환)
|
# 기본 제공되는 서비스 목록
# PHP 버전 및 정보
기본으로 제공되는 PHP 목록입니다.
아래의 목록에서 각 PHP 버전마다 지원가능한 Extension 들은 각 버전들을 클릭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. (phpinfo 제공)
- 웹에서 사용 가능한 PHP-fpm 목록 (패널에서 쉽게 변경가능)
- PHP HHVM (사용하지 않는 것을 강력히 추천)
- [PHP 5.6](http://php56.studyforus.com/)
- [PHP 7.0 (기본 설정 값)](http://php70.studyforus.com/)
- [PHP 7.1](http://php71.studyforus.com/)
- [PHP 7.2](http://php72.studyforus.com/)
- [PHP 7.3](http://php73.studyforus.com/)
- [PHP 7.4](http://php74.studyforus.com/)
- 모든 PHP-fpm 버전에서 지원가능한 주요한 Extension 목록 (HHVM와 5.6 버전은 제외)
- Memcached (캐싱 기능)
- APCu (캐싱 기능)
- ImageMagick (이미지 변환기능)
Shell 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는 쉘에서 사용 가능한 PHP 버전이 있습니다.
- cli 전용으로 지원되는 php 버전 : 7.0 / 7.1 / 7.2 / 7.3 / 7.4
- 현재 서버에 기본으로 사용되는 버전 : 7.0
- 모든 버전 composer 사용 가능
- **cli 버전의 변경은 관리자에게 요청을 통해 변경해야 합니다.**
PHP 7.0 버전과 7.1 의 버전이 공식적인 지원이 끊긴 상황이라 웬만한 PHP cli 버전으로는 7.2 이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(2020년 9월 2일 기준)
# Let's Encrypt 인증서 *
Study For Us HOSTING 에서 제공하는 모든 호스팅 서비스는 무료 인증서인 Let's Encrypt 인증서의 쉬운 생성과 갱신을 지원하고 있습니다.
패널에서 쉽게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, 자동적으로 인증서 생성 및 갱신을 하게 됩니다. 단지 체크 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사용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됩니다.
((작성 예정인 글))
이 외에 개인이 따로 소유하고 있는 인증서가 있는 경우 인증서를 직접 설치할 수 있습니다.
# FTP 서비스
FTP (File Transfer Protocol) 서비스를 통해 쉽게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.
FTP의 접속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.
- 141.164.60.30
- new.studyforus.com
- 호스팅 패널에 연결된 개인 도메인
FTP의 접속 계정의 경우 패널에서 생성 가능하며 아래와 같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.
- 접속 계정 : (패널계정명)+지정한 문자
- 예 ) 호스팅 계정명이 sfu 이고 FTP 생성이 계정명에 1이라고 썼으면 sfu1 이 계정명이 됩니다.
- 비밀번호 : 패널에서 설정 가능
FTP의 접속시 잘못된 계정명이나 비밀번호로 여러번 반복해서 자꾸 시도하는 경우 서버내에서 해킹시도라고 판단하여, 일정시간동안 사용자의 IP를 밴처리 하게 됩니다. 접속이 잘 되지 않는 경우 계정명과 비밀번호를 꼼꼼히 확인하거나 변경하여 다시 시도하기 바랍니다.
# WebMail 서비스
자기가 소유한 도메인을 통해 개인 이메일 주소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메일 도메인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이 필요합니다.
- 개인 도메인의 A 레코드가 서버로 설정되어 있을 것. (설정된 IP 주소가 SFU 서버여야 합니다.)
- 패널 설정에서 메일 도메인 부분에 등록이 되어있을 것
이 두 조건만 만족하면 개인이 소유한 도메인으로 메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기본제공되는 최소 이메일 계정수는 1개이며, 최소 제공되는 용량은 100MB 입니다.
WebMail 접속 방법
- http(s)://자신이소유한도메인/webmail
- [https://sfuhost.com/webmail](https://sfuhost.com/webmail)
- 메일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
WebMail 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RoundCube 입니다.
# phpmyadmin 서비스
phpMyAdmin 은 DB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툴입니다.
phpMyAdmin 사이트에서 소스파일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 업로드하여 바로 접속을 할 수 있지만 Study For Us HOSTING 에서는 굳이 업로드 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.
접속 방법
- [https://sfuhost.com/phpmyadmin](https://sfuhost.com/phpmyadmin)
- http(s)://개인소유도메인/phpmyadmin
# 주 서비스 목록
# Simple Service
웹 호스팅을 사용하기에 가장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입니다.
전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기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인 웹 호스팅 사용에는 전혀 문제가 없으며, 일반적인 웹 사용이 가능합니다.
테스트 용도나, 사이트가 아직 초기인 경우 적당히 준비하기 좋은 서비스 입니다.
상세한 서비스 제공 내역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.
상품명 | Simple 1GB | Simple 3GB | Simple 5GB
|
가격 (월)
| 750 포인트 | 1500 포인트 | 2250 포인트 |
디스크 | 1GB | 3GB | 5GB |
트래픽 | 10GB | 30GB | 50GB |
도메인 | 1개 |
서브 도메인 | 1개 |
별칭 도메인 | 1개 |
DB 계정 | 2개 |
DB 개수 | 2개 |
FTP 계정 | 1개 |
이메일 계정 | 1개 |
이메일 용량 | 100MB | 300MB | 500MB |
SSH 지원 | 불가능 |
# Expert Service
Expert Service 는 일반적인 웹 호스팅보다 조금 더 고급 사용자가 사용하기 좋은 환경입니다.
Simple 서비스와 가장 큰 차이점은 쉘을 사용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 입니다.
SSH로 다양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 Expert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.
Simple 서비스보다 Expert 서비스에서 추가로 사용 가능한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Custom Error Page - /web/error/ 폴더 안에 에러코드에 맞는 파일을 수정하는 것으로 자체 에러페이지를 사용 가능합니다.
- Wildcard Sub Domain - 와일드카드 서브도메인을 통해 임의의 서브도메인을 메인 도메인과 연결할 수 있습니다.
- Cron Job -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경우 작업을 예약시켜 주기적으로 실행가능합니다.
- WebDAV - 웹 공유폴더 같은 기능입니다. FTP와 비슷하다고 생각하지만 웹 기반으로 작동합니다.
아래는 Expert 서비스의 상세 스펙입니다.
상품명 | Expert 1GB | Expert 3GB | Expert 5GB
|
가격 (월)
| 2000 포인트 | 4000 포인트 | 6000 포인트 |
디스크 | 1GB | 3GB | 5GB |
트래픽 | 50GB | 100GB | 150GB |
도메인 | 1개 |
서브 도메인 | 1개 |
별칭 도메인 | 1개 |
DB 계정 | 2개 |
DB 개수 | 2개 |
FTP 계정 | 1개 |
이메일 계정 | 1개 |
이메일 용량 | 100MB | 300MB | 500MB |
SSH 지원 | 불가능 |
# Special Service
Study For Us 커뮤니티에서 우수 회원 등급(회원 레벨 25이상) 이상이 되어야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.
우수 회원만 신청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만큼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제공하는 기능은 Expert 서비스와 동일 합니다.
대신 제공되는 용량과 개수가 다릅니다.
Special Service 에는 두가지 서비스가 존재합니다.
아래는 상세 서비스 제공 내용입니다.
상품명 | Premium | Unlimited |
가격 (월) | 8000 포인트 | 20000 포인트 |
디스크 | 5GB | 20GB |
트래픽 | 300GB | 무제한 |
도메인 | 2개 | 10개 |
서브 도메인 | 4개 | 10개 |
별칭 도메인 | 4개 | 10개 |
DB 계정 | 6개 | 20개 |
DB 개수 | 6개 | 20개 |
FTP 계정 | 6개 | 20개 |
이메일 계정 | 1개 | 무제한 |
이메일 용량 | 1000MB | 1000MB 이상 |
SSH/Cronjob/WebDAV 지원
| 가능 |
# 추가 서비스 안내
# 도메인 추가
도메인 추가하여 여러 웹 사이트들을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도메인 방식을 추가하는 원리를 파악하여, 자신의 사용목적에 맞는 방식의 도메인을 추가하여 더 효율적으로 호스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#### 도메인과 서브도메인(또는 별칭 도메인)의 차이
도메인은 계정 내에 아예 별도의 공간을 갖는 완전히 새로운 사이트 구성을 맞게 됩니다.
호스팅 서비스에서 아래와 같은 호스팅 구조를 갖는다고 생각하면 될것 같습니다.
호스팅 계정은 **관리 계정** 도메인들은 **실제 계정**이라고 생각하면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호스팅 계정 (디스크 용량, 트래픽 용량의 총량을 관리)
ㄴ 도메인 1 (FTP, DB 등 따로 관리)
ㄴ domain1.com (실제 등록한 도메인 명)
ㄴ 서브 도메인 (도메인과 관련된 서브도메인)
ㄴ 별칭 도메인 (다른 도메인명 사용 가능. FTP와 DB는 domain1.com 과 공유)
ㄴ 도메인 2 (FTP, DB 등 따로 관리)
ㄴ domain2.com (domain1.com 과는 완벽하게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)
이러한 구조로 계정 내에서 완전히 새로운 사이트를 구축하게 됩니다.
위에 나와 있는 트리 구조 중 도메인 1과 도메인 2는 DB와 FTP 등 각종 정보들을 공유하지 않습니다.
완전 분리된 별도의 사이트이기 때문에 각 사이트간의 부가 정보는 공유되지 않습니다.
#### 도메인 추가 (1000포인트/월)
도메인을 추가하게 되면 위에 처럼 완전히 분리된 새로운 사이트를 하나 구축하게 되는 경우입니다.
이 때 이전에 생성한 FTP 계정이나, DB, DB 계정에 대한 정보는 공유되지 않습니다.
아예 새롭게 생성된 계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이렇게 별도의 계정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 도메인 추가시 딸려오는 추가적인 서비스가 있습니다.
추가로 제공되는 서비스 (각 1개씩)
- DB
- DB 계정
- FTP 계정
- 이메일 도메인
- 이메일 계정
#### 서브(별칭) 도메인 추가 (500포인트/월)
서브도메인과 별칭도메인의 도메인 추가 방식은 사실상 같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추가 비용도 같습니다.
위에 설명한대로 메인 도메인이 패널에 등록된 상태에서 그 사이트의 공간과 각종 DB 계정, FTP 계정등을 공유하는 서비스 입니다.
즉, FTP 계정 하나로 서브 도메인 폴더 및 별칭 도메인 폴더를 관리 가능합니다.
FTP의 경우 메인 도메인과 서브도메인 별칭도메인끼리 동시에 사용을 해도 별 문제가 없지만 DB나 DB 계정의 경우 별도의 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할 때 필요하기 때문에 추가로 제공합니다.
추가로 제공되는 서비스 (서브도메인, 별칭도메인 공통. 각 1개씩)
- DB
- DB 계정
#### vhost 와의 차이
서브도메인이나 별칭도메인의 경우 vhost 설정이 있습니다. vhost는 기존의 사이트와 다른 하나의 새로운 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. 단, 메인 도메인에 설정된 웹 용량과 트래픽을 공유하면서 사용하게 됩니다.
vhost 가 아닌 일반 서브도메인과 별칭도메인은 메인 도메인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추가 연결 수단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가령 예를 들어 (서브 도메인으로 예를 듭니다. 별칭 도메인의 원리는 같고 대신 아예 다른 도메인을 등록가능합니다.)
1. **domain.com 에 그누보드를 설치, sub.domain.com 을 일반 서브도메인으로 설정 하는 경우**
이 때는 sub.domain.com 으로 접속을 해도 domain.com 으로 인식하여 같은 사이트를 보여줍니다. (단, 주소표시줄에 보이는 주소는 sub.domain.com 으로 보여지게 됩니다.)
2. **domain.com 에 그누보드를 설치, sub.domain.com 을 vhost 서브도메인으로 설정하는 경우**
이 때 sub.domain.com 은 하나의 새로운 사이트로 생성을 하게 됩니다. 즉, sub.domain.com 은 따로 미디어 위키를 설치한다든지, 라이믹스를 설치한다던지 할 수 있습니다.
새로운 사이트를 구축하고 싶은 경우 두 가지 상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1\. 도메인 추가를 이용 - 별도의 공간으로 깔끔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.
2\. 별칭도메인 추가를 이용 - vhost 기능을 이용해 기존 사이트에 종속되어 사용가능합니다.
둘 중에 맘에 드는 방식을 선택하여 신청하면 됩니다.
# 디스크 용량 추가 *
# 트래픽 추가 *
# 이메일 서비스 추가 *
# 쉘 사용자 추가 *
# 부가 기능
# PHP 설정 변경 *
# 웹서버 설정 변경 *
# 호스팅 이전 / 세팅 대행 *
# 네임서버 제공 *